청년이 오래 일하고 싶은 일터…서울형 강소기업 48곳 선정

【서울 = 서울뉴스통신】 송경신 기자 = 서울시는 올해 서울형 강소기업 48곳을 최종 선정했다고 15일 밝혔다.

서울형 강소기업은 서울 소재 공공기관 인증 중소기업 중에서 일·생활 균형 조직문화, 고용 안정성, 복지혜택이 우수한 기업을 엄선해 서울시가 인증하는 제도다. 현재 351개 기업이 인증돼 맞춤형 지원을 받고 있다.

올해 모집에는 149개 기업이 신청해 경쟁률 3.1대1을 기록했다.

업종별로는 정보통신업 15곳(소프트웨어, 인공지능, 보안, 게임 등), 서비스업 25곳(디지털 마케팅, 브랜드 컨설팅, 외식·프랜차이즈 등), 제조·건설업 8곳(화장품·뷰티디바이스·의료기기 등)이 선정됐다.

앞서 시는 올해부터 평가와 선정 기준을 강화했다. CEO 리더십과 기업 성장 가능성, 청년 친화적 조직문화 실천 의지 등을 평가하는 '정성 지표'를 신설했다. 현장실사단을 기존 2인(전문가1·청년1)에서 3인(전문가2·청년1)으로 확대했다.

그밖에 청년 범위(만 34→39세 이하)를 확대하고 신입직원 번아웃 예방 '온보딩 프로그램'과 일·생활 균형 현장 컨설팅 등 사후관리를 강화했다.

선정된 기업에는 청년이 안심하고 오래 일할 수 있도록 혜택이 제공된다.

청년 정규직 채용 시 1인당 최대 1500만원, 기업당 최대 4500만원 근무환경개선금을 지급한다.

이 예산은 휴게·편의 시설 확충, 조직문화 워크숍, 자기계발, 건강검진 등 사내 복지비로 쓸 수 있다.

마음 챙김, 스트레스 관리, 비즈니스 매너 등으로 구성된 신입사원 온보딩(입사 초기 회사 문화·업무 방식에 적응하고 조직 구성원으로 빠르게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돕는 교육·지원 과정) 과정을 통해 신입 청년의 직장 적응을 돕는다.

전문가가 기업 현장을 직접 방문하는 일·생활 균형 교육과 맞춤형 상담으로 청년 친화적 기업문화를 확산한다.

아울러 시는 청년-기업 취업 박람회 연계, 기업 간 네트워킹, 신규 강소기업 대상 교육·상담을 추진한다.

시는 선정 기업 소속감과 대외 신뢰도와 소속감을 높이기 위해 올해 새롭게 개발한 서울형 강소기업 문양(BI)을 인증현판 및 기업 누리집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다음 달 중순부터 서울일자리포털 누리집을 통해 제공할 예정이다.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은 "앞으로도 서울시는 청년이 안심하고 오래 일할 수 있는 기업을 키워 지속 가능한 일자리와 성장 잠재력이 있는 기업 생태계를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