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전공의 충원률 17%…필수 의료 붕괴 우려 고조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의정갈등 이후 복귀 전공의 수가 늘어나면서 전체 충원률이 갈등 전 수준의 76%를 회복했지만, 소아청소년과는 정원의 20%도 채우지 못해 필수 의료 가운데 가장 저조한 지원률을 기록했다.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는 4일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감소는 단순한 수치가 아닌 필수 의료 시스템 붕괴의 전조”라며 심각성을 경고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서 소아청소년과는 모집 인원 770명 중 103명만 선발돼 13.4%에 그쳤고, 수련 중인 인원을 포함해 전체 전공의는 141명으로 정원 대비 충원률은 17.4%에 불과하다.

이는 내과·외과·산부인과·응급의학과 등 필수과와 비교해도 크게 낮은 수치로, 지난해 3월 대비 40% 이상 감소한 것이다. 학회는 낮은 진료수가, 의료사고 및 법적 분쟁 위험, 저출산으로 인한 소아 인구 감소를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실제 전공의·전문의 대상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90%가 ‘낮은 수가’를, 80%가 ‘법적 리스크’를, 70%가 ‘인구 감소’를 기피 요인으로 지목했다.

이로 인해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감소는 지속적인 진료 기반을 크게 위협하고 있으며, 24시간 응급·중증 환자 대응은 물론 만성질환 관리와 지역 기반 의료의 존립마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올해 수련실태조사 결과 전국 수련병원 93곳 중 24시간 응급진료가 가능한 곳은 절반에도 못 미치는 46.2%였고, 지방에는 소아청소년과 의원 자체가 없는 지자체가 58곳에 달한다.

학회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린이·청소년 건강기본법(가칭)’ 제정을 통한 법적·제도적 지원 체계 확립, 소아청소년 전담 부서 신설, 수가 현실화, 재정적 지원 확대, 의료사고 법적 부담 완화, 피해자 구제 제도 개선 등을 촉구했다.

또한 사회적 협의체를 통한 의료현장 안정화와 지방 의료 인프라 강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하며, “아이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소아청소년 의료 인프라를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