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대책 후폭풍…아파트 입주시장 위축, 분양권 거래 38% 급감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6·27 대책의 여파가 새 아파트 입주시장에도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6억원 이하로 제한되고, 소유권 이전등기 전 세입자의 전세대출 이용이 금지되면서 수분양자들의 자금 조달 계획이 틀어지고 있는 것이다.

28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8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 지수는 전월 대비 20.1포인트(p) 떨어진 75.7을 기록했다. 특히 수도권은 대출 규제의 직접 영향을 받으며 전월 대비 41.0p 급락한 76.1을 나타냈다.

7월 새 아파트 미입주 원인 중에서는 ‘잔금대출 미확보’가 전월 대비 11.4%p 상승한 38.5%로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기존주택 매각 지연(32.7%), 세입자 미확보(17.3%), 분양권 매도 지연(1.9%) 순이었다.

대출 규제는 분양권·입주권 거래시장에도 직격탄을 날렸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수도권 분양·입주권 거래량은 6월 1185건에서 7월 736건으로 37.9% 감소했다. 서울은 132건에서 88건으로 33.3% 줄었고, 인천과 경기도 각각 41.1%, 37.8% 감소했다.

이로 인해 서울 외곽을 중심으로 ‘무피(프리미엄 없음)’나 ‘마피(마이너스 프리미엄)’ 거래도 속출하고 있다. 실제 강북구 미아동 엘리프 미아역 2단지 전용 59㎡ 분양권은 최고 분양가 7억9300만원보다 낮은 7억7818만원에 거래됐고, 구로구 ‘천왕역 모아엘가 트레뷰’ 전용 84㎡ 분양권도 분양가 대비 약 6000만원 낮은 가격에 매매됐다.

전문가들은 대출 규제 강화로 인한 자금난이 지속될 경우 주택사업자의 부담이 커지고, 장기적으로 민간 공급 감소와 미분양 장기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노희순 주택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입주 자금 조달의 어려움은 민간공급 위축과 사업자의 유동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대출 환경 개선 없이는 입주 포기 사례가 늘고 시장 침체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