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AI·녹색 혁신으로 고부가 전환"…재생에너지 확대·탄소감축

【서울 = 서울뉴스통신】 김부삼 기자 = 정부가 인공지능(AI) 제조공정 혁신과 녹색 전환을 통해 석유화학·철강 등 위기에 놓인 주력 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하고,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탄소감축 가속화를 통해 글로벌 산업 대전환에 대응한다.
기획재정부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합동브리핑을 열고 이러한 내용을 담은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을 발표했다.
우선 석유화학 산업은 범용 제품에서 반도체 세정액 등 고부가가치 제품으로의 전환을 위해 연구개발(R&D) 지원을 확대하고, 철강 산업은 수소환원제철·특수강 등 저탄소·고부가 제품 전환을 위한 지원책을 마련한다.
방위산업도 AI 기반 무인 드론·로봇 등으로 전환하고 수출 지원을 강화한다. 정부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개방형 혁신을 촉진해 산업 생태계 전반의 고도화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재생에너지 인프라 확충에도 속도를 낸다. RE-100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특별법 제정, 규제 완화와 인센티브 확대, AI 기반 전력망 실증사업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산업 육성 등을 통해 차세대 전력망 구축과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병행한다.
또한 해상풍력·태양광 입지 다각화, 지자체 규제 개선 등 제도 개편도 추진한다. 아울러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 활성화와 녹색금융 확대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에 나선다. 2035년까지 강화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수립하고, 배출권거래제 총량 규제와 유상할당을 확대해 기업 감축 유인을 높인다.
정부는 자발적 탄소시장 거래소 신설, 중소기업 참여 확대,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대응 지원도 병행할 계획이다. 윤인대 기재부 차관보는 "AI 제조공정 혁신과 녹색 전환을 통해 주력산업 고도화와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