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일제강점기 토지기록 전산화 착수…내년까지 100만건 완료

【서울 = 서울뉴스통신】 송경신 기자 = 서울시는 일제강점기부터 1975년까지 작성된 '토지기록물'을 복원해 전산화하는 '영구 토지기록물 DB 통합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올해 44만건을 시작으로 내년까지 총 100만건, 2030년까지 200만건 전산화를 완료한다는 게 시의 계획이다.
현재 서울기록원에 종이나 마이크로필름 형태로 보관 중인 토지이동결의서를 전산화해 온라인으로 검색·열람이 가능하게 한다.
토지기록이 복원·디지털화되면 서울시 토지기록의 역사적 가치 보존할 수 있다. 아울러 필요한 자료를 신속하게 검색·열람하고 기관별 분산 기록을 통합·관리할 수 있다.
또 장기 미해결 민원이나 토지 관련 소송에 필요한 과거 이력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 행정 처리 정확도와 속도가 높아진다. 민원대응력 향상과 디지털 행정기반 강화 등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체계적으로 복원된 토지기록을 도시계획이나 정책 수립 기초자료로도 활용한다. 공간정보시스템 등 다른 행정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부서 간 정보 공유와 데이터 기반 행정 운영 토대 마련 등이 가능하다.
시는 향후 구축된 자료를 토지 관련 조사, 개발사업, 보상업무, 부동산 정책 등에 활용한다. 한 곳에서 열람·검색할 수 있도록 지적보존문서시스템 일괄 검색·열람 기능도 고도화할 계획이다.
시는 올해 서울기록원에 보관 중인 토지기록물 44만건 전산화를 시작으로 내년에는 2차 사업을 통해 56만건을 추가 전산화한다.
앞서 시는 2022년 흑백(저해상도)으로 저장돼 식별이 어려웠던 33만건 자료를 고화질로 개선한 바 있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광복 80주년을 앞두고 우리 땅의 역사를 보존하고 되새기는 뜻깊은 사업"이라며 "앞으로도 행정의 투명성과 신뢰를 높이고 시민 편의를 강화하는 디지털 기반 기록행정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