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하반기 서울 5조원대 수주 경쟁…안전 리스크가 발목

【서울 = 서울뉴스통신】 김부삼 기자 = 이재명 정부가 반복되는 건설 현장 산업재해 사망사고에 대해 엄벌 방침을 밝히면서, ‘안전 리스크’가 하반기 건설업계 수주전의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법적 처벌은 물론 산재 다발 기업이라는 부정적 이미지가 형성되면 정비사업 조합들이 시공사 선정에서 해당 건설사를 배제할 가능성이 높아 수주 경쟁력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서울 주요 재건축·재개발 사업 수주 격전지의 공사비는 △개포우성7차(6,778억원) △개포우성4차(6,498억원) △여의도 대교(7,721억원) △송파한양2차(6,856억원) 등이 있으며, 약 2조원대가 예상되는 성수전략정비1지구까지 합치면 총 5조원 규모다.

그러나 최근 포스코이앤씨는 올해 자사 현장에서 4명이 사망한 데 이어 외국인 근로자 감전사고까지 발생하면서 정희민 대표가 취임 8개월 만에 사퇴했고, DL건설은 사망사고 이후 전국 현장을 일시 중단하고 임직원 80여명이 사표를 제출했다. 여기에 안전관리 의무 위반 시 1년 이내 영업정지나 매출 3% 과징금을 부과하는 ‘건설안전특별법’ 추진이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재건축·재개발 조합들은 산재 사고 다발 건설사에 대한 우려를 숨기지 않는다. 서울 강북권 한 조합 관계자는 “공사 지연 시 피해는 고스란히 조합원들에게 돌아간다”며 리스크가 있는 업체 기피 가능성을 언급했고, 또 다른 조합원도 “안전사고 이력이 적은 건설사를 선호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실제 대한주택협회 연구에 따르면 HDC현대산업개발은 광주 화정동 외벽 붕괴 사고 이후 브랜드 프리미엄이 사고 전후 2년간 약 6.3%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일부 전문가는 민간 정비사업에서는 안전 리스크보다 조합원 이익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하며, 건설사가 수주 조건을 후하게 제시해 만회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