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수도권 입주물량 11만 가구…3년 연속 감소세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수도권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이 3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며 내년에는 11만 가구 수준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서울은 내후년 입주 물량이 1만 가구를 밑돌 것으로 예상되며, 공급 부족에 따른 가격 불안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달 중 발표될 예정인 정부의 주택 공급 대책이 향후 집값 안정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7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6월 기준 수도권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임대 포함)은 올해 14만5237가구에서 2026년 11만1470가구, 2027년에는 10만5100가구로 감소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은 올해 4만6767가구에서 내년 2만8355가구로 줄고, 2027년에는 8803가구로 감소해 1만 가구선마저 붕괴될 전망이다. 경기도 역시 올해 7만5868가구에서 내년 6만6013가구로 줄었다가 2027년에는 8만909가구로 반등할 것으로 보인다. 인천은 같은 기간 2만2602가구에서 1만7102가구, 1만5388가구로 점차 줄어드는 흐름이다.
이러한 공급 감소 추세 속에서 정부는 지난 6·27 부동산 대책의 후속 조치로 8월 중 추가 공급 대책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해당 대책에는 3기 신도시의 조기 공급 추진과 함께 공공주도 도심복합개발, 공공재개발 등의 방안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기도 했던 공공 중심의 도심 주택공급 확대 전략이 재부상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또한 2020년 8·4 대책에서 언급됐던 유휴 국공유지 개발, 도심 내 활용 가능한 공공부지 발굴 등도 속도전을 벌일 수 있는 수단으로 검토되고 있다. 특히 최근 서울시가 정비사업 소요 기간을 평균 18.5년에서 13년으로 단축하는 방안을 내놓으면서 정비사업의 실행력이 향상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도심 내 주택공급 확대를 위한 정책 방향 자체는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실질적인 공급으로 이어지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부동산R114 관계자는 “착공부터 입주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 단기적인 공급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으며, 주민 협의와 지자체 협조 등 실행을 뒷받침할 동력 확보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그동안 수차례 발표된 공급 대책이 실제 사업으로 이어지는 데 실패했던 전례가 있는 만큼, 계획과 실행의 간극을 얼마나 좁힐 수 있느냐가 이번 대책의 성패를 가를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