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 특검' 조태용 피의자 조사…‘尹 격노-수사 외압’ 연결고리 추궁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해병대 고(故) 최상병 순직 사건을 수사 중인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29일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했다. 조 전 원장은 사건 당시 국가안보실장이었으며, 윤석열 전 대통령이 ‘격노’했다는 논란이 불거진 2023년 7월 31일 수석비서관 회의에 배석했던 핵심 인물이다. 특검은 이 회의 직후 이뤄진 각종 조치와 조 전 원장의 관련 행적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특검팀은 이날 오전 9시 30분 서울 서초구 사무실에서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조 전 원장을 소환해 VIP 격노설의 진위와 이를 계기로 한 외압 정황 여부를 집중 추궁할 계획이다. 조 전 원장은 당시 회의에 참석한 7명 중 한 명으로, 윤 전 대통령이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조사 결과를 임기훈 당시 국방비서관에게 보고받은 뒤 분노를 표출하고, 회의 참석자 중 일부를 돌려보낸 뒤 특정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회의 직후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은 윤 전 대통령과의 168초 통화 직후 박진희 전 군사보좌관을 통해 김계환 당시 해병대 사령관에게 전화해 사건 기록 이첩 보류와 언론 브리핑·국회 보고 일정을 취소하라고 지시한 정황이 드러났다. 이후 조 전 원장은 같은 날 저녁 임 전 비서관과 통화한 데 이어, 8월 2일에는 이 전 장관과도 통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검은 이미 김계환 전 사령관, 김태효 전 안보실 1차장 등으로부터 윤 전 대통령의 격노 발언이 실제 있었다는 진술을 확보한 상황이다. 이번 조 전 원장 소환은 당시 수석회의 이후 일련의 조치들이 대통령의 직접적인 영향력 아래 이뤄졌는지, 그에 따른 수사 외압이 존재했는지를 규명하는 핵심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특검은 7월 10일 이종섭 전 장관, 전하규 전 대변인, 임기훈 전 비서관 등을 상대로 압수수색을 단행한 데 이어, 11일에는 조 전 원장의 자택 등에 대한 압수수색도 진행한 바 있다. 특검은 확보한 통화 내역과 관련 압수물 분석을 바탕으로 대통령실 지시 여부에 대한 정밀 조사를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