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차 방화 대응 강화 나선다"…서울교통공사-소방재난본부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서울 지하철 내 방화 사건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이 커지는 가운데, 서울교통공사와 서울시 소방재난본부가 열차 화재에 대한 대응 강화를 위해 손을 맞잡는다. 양 기관은 오는 23일 지하철 시설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에 대해 신속하고 유기적인 대응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향후 2년간 공동 훈련과 대응체계 구축에 나설 계획이다.
이번 협약은 지난 5월 발생한 5호선 방화 사건 이후 마련된 후속 조치의 일환으로, 서울교통공사는 방화범 원모 씨에 대해 가압류 및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추진할 방침이다. 소송은 검찰이 원 씨를 정식 기소하는 시점에 맞춰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해당 사건은 지난 5월 31일 오전 8시 42분께, 5호선 여의나루역과 마포역 사이 구간을 지나던 열차 내에서 발생했다. 당시 원 씨는 휘발유 3.6ℓ를 열차 안에 뿌리고 불을 질렀으며, 이로 인해 자신을 포함한 승객 160명의 생명을 위협하고 승객 6명에게 부상을 입혔다. 사건으로 총 23명이 연기 흡입으로 병원에 이송되고 129명이 현장에서 응급 처치를 받았으며, 열차 1량이 일부 소실돼 약 3억 원 이상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조사에 따르면, 원 씨는 이혼 소송에서 패소한 뒤 재산 분할 결과에 불만을 품고 극단적인 선택을 결심한 것으로 드러났다. 사회적 관심을 끌기 위해 지하철 방화라는 충격적인 범행을 저지른 그는, 피해망상적 사고 속에 계획을 실행한 것으로 경찰은 보고 있다.
서울교통공사는 이번 사건 이후 지난 11일 홍대입구역에서 지하철경찰대, 마포구청 등과 함께 지하철 범죄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합동 캠페인을 실시했다. 공사는 열차 내 화재 발생 시 객실 끝 비상 호출 장치를 통해 신속히 승무원에게 상황을 알리고, 안내에 따라 질서 있게 대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휘발유, 신나, 압축 가스 등 인화 물질을 휴대한 승객이 확인되면 112나 지하철 직원에게 즉시 신고해야 한다는 점도 안내했다.
서울교통공사와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향후 정기적인 합동 훈련과 정보 공유를 통해 지하철 화재 예방 및 대응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