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대책 이후 수도권 아파트 거래 ‘급랭’…고가·대형 평형 직격탄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6·27 주택담보대출 규제 대책 시행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이 빠르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량은 물론 거래 면적과 가격 모두 하향 조정되면서, 고가·대형 평형이 밀집한 강남권은 직접적인 타격을 받은 반면, 중소형·실수요 중심의 거래로 전환되는 분위기다.
직방이 21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10일부터 이달 15일까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6·27 대책 발표 전인 6월 10~27일 동안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은 2만474건이었으나, 발표 후인 6월 28일~7월 15일에는 5,529건으로 급감했다. 같은 기간 수도권 중위 거래가격은 6억6,000만원에서 5억원으로 1억6,000만원 하락했고, 중위 전용면적도 84㎡에서 75㎡로 줄어들었다.
서울은 특히 거래 위축이 두드러졌다. 거래량은 7,150건에서 1,361건으로 줄었고, 중위 거래가격은 10억9,000만원에서 8억7,000만원으로 2억2,000만원 감소했다. 전용면적도 84㎡에서 78㎡로 축소됐다. 자치구별로는 고가 아파트가 몰려 있는 강남구의 중위 거래가격이 29억원에서 26억원으로 3억원 낮아졌고, 면적도 85㎡에서 76㎡로 줄었다. 거래량은 301건에서 67건으로 급감했다. 서초구는 거래량이 134건에서 13건으로 급감했고, 중위 거래가격도 23억7,500만원에서 19억6,500만원으로 하락했다. 송파구의 경우 거래량은 줄었지만 가격 하락 폭은 3,000만원에 그쳤다.
‘마용성’으로 불리는 마포·용산·성동구도 하락세를 피하지 못했다. 마포구는 중위가격이 15억2,750만원에서 12억2,000만원으로, 용산구는 18억500만원에서 15억4,000만원으로, 성동구는 15억8,000만원에서 14억600만원으로 하락했다. 이들 지역은 중위 거래면적 85㎡를 유지했지만, 전반적인 거래 심리 위축이 반영됐다.
풍선효과가 기대됐던 노원·도봉·강북구 등 ‘노도강’과 금천·관악·구로구의 ‘금관구’도 예외는 아니었다. 노원구는 거래 면적은 59㎡로 유지됐지만 중위가격은 5억9,500만원에서 5억1,900만원으로 하락했고, 금천구도 60㎡의 면적 유지 속에 중위가격이 5억8,250만원에서 5억4,500만원으로 낮아졌다.
경기도 전체로는 중위 거래가격이 5억5,000만원에서 4억4,500만원으로, 전용면적은 78㎡에서 75㎡로 줄었다. 반면 과천시는 거래량은 적었으나 고가 신축 단지의 단일 거래가 중위가격을 끌어올리는 역할을 했다. ‘센트럴파크푸르지오써밋’이 27억원, ‘과천푸르지오써밋’이 20억8,500만원에 거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 역시 거래량은 2,003건에서 804건으로 줄었고, 중위 거래가격도 3억7,900만원에서 3억6,000만원으로 소폭 하락했다.
직방은 “6·27 대책 발표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은 거래량과 면적, 가격 모두 빠르게 하향 조정되며 관망 국면에 진입했다”며 “대출 제한으로 인해 거래 가능한 아파트의 조건 자체가 달라졌고, 중소형·중저가 주택 중심의 실수요 거래가 늘어나는 추세”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