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강도 대출규제 직격탄…서울 최고가 거래 74% '급감'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6·27 고강도 대출규제 시행 이후 서울 아파트 시장의 최고가 거래가 2주 만에 74%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마포구, 성동구, 강동구 등 '한강벨트' 지역에서 거래 위축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강남3구 역시 거래 감소세를 피하지 못했다.

14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규제 시행 전 2주간(6월 13일~26일) 서울 아파트 전체 거래량은 4693건이었으며 이 중 최고가 거래는 1141건(24.3%)이었다. 하지만 규제 이후 2주간(6월 27일~7월 10일) 거래량은 1312건, 최고가 거래는 300건(22.9%)에 불과해 최고가 거래량이 무려 74% 감소했다.

특히 ‘한강벨트’로 불리는 마포·성동·강동 지역의 거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성동구는 139건에서 22건으로 84% 줄었고, 마포구는 137건에서 18건으로 87% 급감했다. 강동구도 116건에서 23건으로 80%가량 감소했다. 마포래미안푸르지오3단지, 공덕자이 등 주요 단지에서는 대책 이후 최고가 거래가 단 한 건도 이뤄지지 않았다.

강남3구도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강남구는 최고가 거래가 112건에서 41건으로 63% 감소했고, 서초구는 37건에서 9건, 송파구는 64건에서 27건으로 줄었다. 이는 대출규제가 고가 아파트 거래를 직접적으로 억제한 결과로 해석된다.

최고가 거래는 시장 내 가격 기대심리를 반영하는 지표인 만큼, 규제 전 공격적인 매수세가 관망세로 급변한 것으로 풀이된다. 직방은 “강력한 규제로 자금 조달 계획에 혼란이 생기면서 매수세가 위축됐다”며 “일부 지역에서는 호가 조정이 시작됐고, 매수 문의 자체가 줄어들면서 거래가 사실상 정지 상태에 들어갔다”고 분석했다.

반면 규제 대상에서 벗어난 서울 외곽의 노·도·강(노원·도봉·강북) 및 금·관·구(금천·관악·구로), 경기권 일부 지역은 대체지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됐다.

이재명 대통령이 이번 대출규제를 "맛보기"에 불과하다고 언급한 만큼, 시장의 관망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사전 예고 없이 즉시 시행된 이번 조치처럼 향후 추가 규제 역시 예측이 어려운 점도 시장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직방 관계자는 “수요자 입장에선 규제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사전 자금 계획 점검과 불확실성 대비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