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속 건설현장 ‘온열질환’ 비상…현장 점검 강화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장마가 끝나기도 전에 본격적인 폭염이 시작되면서 건설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야외작업 비중이 높은 건설현장 특성상 근로자들이 온열질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업계 전반에 걸쳐 혹서기 대비 안전관리 강화에 나선 것이다.
4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주요 건설사 대표와 안전책임자들이 직접 현장을 찾아 고온환경 속 안전대책을 점검하고 있다. HDC현대산업개발 정경구 대표이사와 조태제 CSO(최고안전책임자)는 지난달 27일 곤지암역 센트럴 아이파크 공사현장을 방문해 폭염 대응 지침과 비상상황 대응체계, 휴게시설·그늘막 등 온열질환 예방시설의 운영 상태를 집중적으로 살폈다.
DL이앤씨의 이길포 CSO도 지난 5월 29일 고용노동부와 함께 경남 지역 건설현장을 찾아 휴게시설과 차양막 설치 계획, 냉방장비 제공 및 순환휴식제 운영 상황 등을 면밀히 확인했다. 이 회사는 ‘사칙연산’ 캠페인을 통해 물과 염분을 ‘더하고’, 폭염시간 옥외작업을 ‘빼며’, 그늘과 휴식, 보냉장구를 ‘곱하고’, 근로자 건강 정보와 관심을 ‘나누는’ 실천형 안전수칙을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
포스코이앤씨는 ‘혹서기 비상대응반’을 운영하며 전국 100여 개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온열질환 예방 설비 구축 상태를 집중 점검 중이다. 전 임원이 현장을 직접 방문해 안전관리와 휴일작업 계획을 점검하고, ‘5禁(절대금지), 5行(절대실행)’ 준수 여부도 확인하고 있다.
이처럼 현장 대응이 강화되고 있는 배경에는 건설업이 여름철 온열질환 산업재해의 최대 피해 업종이라는 점이 자리하고 있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6년간 업종별 온열질환 산재 승인 비율 중 건설업이 48%로 가장 높았으며, 팬데믹 시기 일시적으로 감소했던 건설현장 온열질환도 최근 다시 증가세로 전환됐다. 특히 최근에는 중소규모 현장에서 온열질환 피해가 집중 발생하고 있어 우려가 크다.
건정연은 “체감온도 31도 초과 시 작업 단축, 38도 초과 시 야외작업 중지 등의 권고가 필요하다”며 “소규모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안전 교육과 컨설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기후변화로 인해 장마와 폭염, 태풍 등 계절성 기후가 점점 더 불확실해지고 있는 가운데, 건설업계의 안전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실질적 방안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