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2030 청년' 생애 첫 집 마련 증가세…토지거래허가제 해제 나비효과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올해 들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 2030 청년층의 '생애 첫 주택 구입'이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와 특례대출 요건 완화 등 정책 변화가 청년층의 주택 수요를 자극하면서 '패닉 바잉(공황 매수)' 현상으로까지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25일 법원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3월 서울에서 생애 첫 집합건물(아파트·빌라·오피스텔 등)을 매입한 사람은 총 1만45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했다. 이 가운데 2030 청년층은 6167명으로 전체의 59.0%를 차지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의 53.8% 대비 5.2%포인트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30대는 5095명으로 전년 대비 19.3%, 20대는 1072명으로 4.5%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 집값이 다시 상승세를 타면서 "지금이 아니면 집을 못 산다"는 심리가 청년층을 자극한 결과로 풀이된다.

실제로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지난 2~3월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이후 꾸준히 상승했다. 해제 직전인 3월 중순에는 주간 상승률 0.25%를 기록했고, 연초 대비 누적 상승률은 1.27%(4월 21일 기준)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엔 -0.33%였다.

청년 주택 수요 증가에는 정책적 요인도 작용했다. 올해부터 신생아 특례대출 소득 기준이 연 2억원까지 확대되면서 맞벌이 청년도 특례대출 대상에 포함됐다. 공시가 9억원 이하, 전용면적 85㎡ 이하 주택이면 대출이 가능해진 것이다.

하지만 서울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14억원을 넘어선 상황에서, 높은 진입장벽에 따라 수도권 외곽으로 청년들의 시선이 옮겨지고 있다. 올해 1~3월 경기도의 생애 첫 매수자는 3만1611명이며, 이 중 2030대는 1만7205명으로 54.4%를 차지했다. 인천 역시 2030 매수 비율이 49.2%에 달했다.

또한 지난 18일 출시된 '청년주택드림대출'도 경인 지역 청약 수요를 키우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 대출은 39세 이하 무주택 청년이 청약 당첨 시 최대 80%까지, 최저 연 2.2% 금리로 지원되는 상품으로, 분양가 6억원 이하, 전용면적 85㎡ 이하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주거 불안정성 해소 차원에서 청년층의 실수요를 지원하는 정책은 긍정적이지만, 시장 과열을 유도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