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GDP -0.2% 역성장…3분기 만에 '마이너스 쇼크'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민희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시킨 관세전쟁으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우려되는 가운데 1분기 한국경제가 3분기 만에 역성장 쇼크를 기록라며 9분기 만에 최악의 성적표를 냈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1분기 실질GDP는 전기대비 0.2% 감소했다. 소수점 둘째 자리로는 -0.24%다. IT 경기 부진으로 -0.5% 성장률을 기록했던 2022년 4분기 이후 최악의 기록이다.

우리나라 GDP성장률은 2022년 4분기 -0.5%를 기록해 2년 6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한 후 지난해 1분기까지 플러스를 이어갔다. 

우리나라 성장률이 4분기 연속 0.1% 이하를 기록한 것은 과거 외환위기나 금융위기 시기에도 없었던 이례적인 일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수출은 화학제품, 기계 및 장비 등이 줄어 1.1% 하락했고, 수입은 에너지류(원유, 천연가스 등)를 중심으로 2.0% 줄었다. 민간소비는 오락문화와 의료 등 서비스 소비 부진으로 0.1% 낮아졌다.

정부소비는 건강보험급여비 지출이 줄어 0.1% 감소했다. 건설투자는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3.2% 줄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제조용장비 등 기계류가 줄어 2.1% 감소했다.

이 결과 성장률에 대한 민간 기여도는 -0.3%포인트로 전분기(+0.2%포인트)에서 마이너스 전환했다. 정부 기여도는 -0.1%포인트에서 0.1%포인트로 높아졌다. 항목별로 순수출 기여도는 0.3%포인트로 같았다. 내수 성장기여도는 -0.2%포인트에서 -0.6%포인트로 떨어졌다.

민간소비와 정부소비 기여도는 각각 0.1%포인트에서 0.0%포인트로 내렸다. 건설투자 기여도는 -0.6%포인트에서 -0.4%포인트로 바뀌었다. 설비투자는 0.1%포인트에서 0.2%포인트로 낮아졌다.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0.0%포인트로 같았다.

경제활동별로 농림어업은 어업을 중심으로 3.2% 증가했다. 제조업은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기계 및 장비 등을 중심으로 0.8% 감소했다. 전기가스수도사업은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을 중심으로 7.9% 늘었다.

건설업은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1.5% 감소했다. 서비스업은 금융 및 보험업, 정보통신업 등에서 늘었으나, 운수업,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등이 줄며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한은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민간소비와 정부소비, 건설 투자를 비롯해 수출과 수입 등 전 분야가 모두 안 좋았다"고 말했다.